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selfie resonates not because it is new, but because it expresses, develops, expands, and intensifies the long history of the self-portrait. The self-portrait showed to others the status of the person depicted. In this sense, what we have come to call our own “image”―the interface of the way we think we look and the way others see us―is the first and fundamental object of global visual culture. The selfie depicts the drama of our own daily performance of ourselves intension with our inner emotions that may or may not be expressed as we wish. At each stage of the self-portrait’s expansion, more and more people have been able to depict themselves. Today’s young, urban, networked majority has reworked the history of the self-portrait to make the selfie into the first visual signature of the new era. * resonate: 공명(共鳴)하다 ** depict: 그리다 ① Are Selfies Just a Temporary Trend in Art History? ② Fantasy or Reality: Your Selfie Is Not the Real You ③ The Selfie: A Symbol of Self-oriented Global Culture ④ The End of Self-portraits: How Selfies Are Taking Over ⑤ Selfies, the Latest Innovation in Representing Ourselves |
자, 제목을 묻는 문제네요.
제목을 묻는다라… 이것도 요지니 주제니 찾는 문제하고 다를 바 없죠.
첫 문장 보면, “The selfie resonates~”라고 설명하죠.
resonate 공명한다? 이 문장은 뭘 얘기하고자 하는지도 모르겠어요.
그냥, 제일 마지막 두 문장 볼게요.
At each stage of the self-portrait’s expansion, more and more people have been able to depict themselves. Today’s young, urban, networked majority has reworked the history of the self-portrait to make the selfie into the first visual signature of the new era.
자화상이 확장되는 각 단계에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묘사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의 젊고, 도시에 거주하며,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사람들은 자화상의 역사를 재구성하여 셀카를 새로운 시대의 첫 번째 시각적 상징으로 만들었다.
자, 이제 이것만 가지고 보기들을 한번 살펴 볼게요.
① Are Selfies Just a Temporary Trend in Art History? (셀카는 예술사에서 단지 일시적인 유행일까?)
② Fantasy or Reality: Your Selfie Is Not the Real You (환상인가 현실인가: 당신의 셀카는 진짜 당신이 아니다)
③ The Selfie: A Symbol of Self-oriented Global Culture (셀카: 자기 중심적인 세계 문화의 상징)
④ The End of Self-portraits: How Selfies Are Taking Over (자화상의 종말: 셀카가 어떻게 그 자리를 차지했는가)
자화상의 종말: 셀카가 어떻게 그 자리를 차지했는가
⑤ Selfies, the Latest Innovation in Representing Ourselves (우리 자신을 표현하는 최신 혁신)
제목이라고 하면 좀 포괄적인 내용이어야 하잖아요?
1번, 단지 일시적 유행? 도대체 그런 말이랑 상관이 있겠어요?
2번, 진짜 당신이 아니다? 지금 그런 얘기 하는 거 아니잖아요.
4번, 종말? 뭔 종말이래요?
5번, 최신 혁신? 무슨 셀카가 혁신까지?
3번 한번 볼게요.
셀카: 자기 중심적인 세계 문화의 상징
뭔가 좀 포괄적이죠? 마지막 문장 한번 다시 보죠.
At each stage of the self-portrait’s expansion, more and more people have been able to depict themselves. Today’s young, urban, networked majority has reworked the history of the self-portrait to make the selfie into the first visual signature of the new era.
자화상이 확장되는 각 단계에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묘사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의 젊고, 도시에 거주하며,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사람들은 자화상의 역사를 재구성하여 셀카를 새로운 시대의 첫 번째 시각적 상징으로 만들었다.
이 문장에 어떤 단어가 있죠?
Visual Signature!
signature 라고 하면, 서명도 되겠지만 특징이라는 뜻도 되는 건 사전 찾아 보면 나오죠. 그런데 보통 우리 이런 표현 하잖아요. 시그니쳐 모델이다…
시그니쳐 모델이라고 하면, 그 브랜드의 상징이 되는 모델이겠죠.
즉, signature 가 바로 symbol 이랍니다. 그러면 이제 답이 나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