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표현은 “catch on“입니다.

이 짧은 구동사는 두 가지 전혀 다른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그러다보니 많은 학생들이 독해 지문에 이 표현이 나오면 많이 헷갈려 하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두 가지 의미, 즉 다르게 쓰일 수 있는 이 “catch on”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catch on = 이해하다, 눈치채다
이 의미의 “catch on”은 어떤 아이디어, 농담, 상황 등을 ‘드디어 이해하게 되다’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특히 처음에는 잘 몰랐다가 나중에 ‘아하!’ 하고 깨닫게 되는 순간에 많이 쓰이죠.
여러개의 예문을 한번 살펴 볼까요?
- I didn’t catch on at first, but now I get it. (처음엔 이해 못했는데, 이제 알겠어.)
- He’s really smart—he catches on quickly. (그는 정말 똑똑해요. 금방 이해해요.)
- It took her a while to catch on to the plan. (그녀가 그 계획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렸어요.)
- They were making fun of me, but I didn’t catch on right away. (그들이 나를 놀리고 있었는데, 난 바로 눈치채지 못했어요.)
2. catch on = 유행하다, 인기를 끌다
이 의미로 쓰일 땐, 주로 트렌드, 스타일, 기술 등이 널리 퍼지며 사람들의 인기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해석되는 건, 무조건 예문을 통해서 익히는 게 좋습니다.
- The song didn’t catch on immediately, but it became a hit later. (그 노래는 처음엔 주목받지 못했지만, 나중에 히트했어.)
- That hairstyle has really caught on in Korea. (그 헤어스타일이 한국에서 정말 유행했어.)
- The idea of using AI in education is starting to catch on. (교육에서 AI를 활용하는 아이디어가 점점 인기를 얻고 있어.)
- Minimalist design caught on among young people. (미니멀리즘 디자인은 젊은 층 사이에서 유행했어.)
자, 같은 표현이지만 두 개의 다른 뜻, 이제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
의미 | 해석 | 예시 표현 |
1. 이해하다 | 뭔가를 알게 되다 | “I didn’t catch on.” |
2. 유행하다 | 인기나 트렌드가 퍼지다 | “That trend caught on.” |